커버스토리

Vol.49  2023. 11.

게시물 상세

 

[프로 독서러들의 세계]
프로 독서러의 책 읽기 노하우

 

 

 

김익한(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대학원 명예교수)

 

2023. 11.


 

들어가며

 

책 잘 읽는 사람이 참 많다. 블로그 글을 읽다보면 심지어는 일주일에 2권 이상, 한 달에 10여 권씩 책을 읽어 젖히는 독서가들이 자주 발견된다. 독서를 통해 작가가 된 사람도 있고, 독서 모임을 업으로 하게 된 사람도 꽤 있다. ‘선공부 후실행’이 일상이 된 사람들은, 책으로 먼저 공부를 하고는 무엇이든 척척 잘 해낸다. 이렇다 보니 자기계발 세계에서 독서력은 이미 필수 능력이다. 부자가 되려는 사람, 지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 심지어 수험생들조차 책 안에서 ‘비법’을 찾는다.

 

이런 ‘프로 독서러’들은 어떻게 책을 읽을까? 도대체 어떻게 하기에 책 속에서 그런 ‘비법’을 찾아내는 것일까? 독서력이 낮은 사람들에게 이들의 경지는 신비로울 뿐이다. 그런데 ‘프로 독서러’들의 실제 독서 행위를 들여다보면 그 ‘신비’의 실체는 지극히 단순하다. 몇 가지 팁이 몸에 착 달라붙어 있고, 그 팁들 안에 사람의 인지, 융합, 표출의 메커니즘이 내재되어 있다. ‘착 달라붙어 있다’라는 것은 습관적 실행을 뜻하고, ‘메커니즘’이란 행위의 복합성을 의미한다. 뭔가를 잘하려면 이렇게 복합 역량을 습관적으로 행해야 한다. 반복적으로 연습해서 독서에 필요한 복합 역량을 몸에 익히고, 책을 읽을 때마다 습관적으로 반복하면 우리 모두는 ‘프로 독서러’가 될 수 있다.

 

눈 운동 독서

 

책을 잘 읽지 못하는 첫 번째 이유는 단어들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아서이다. 놀랍게도 이 단순한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른다.

 

학창 시절에 항상 교과서라는 책을 읽고 살아왔다는 착각이 이런 무지를 낳는다. 교과서를 읽는 것은 다른 독서 행위와 완전히 다르다. 선생님이 내용을 설명해주니 사전 지식을 충분히 쌓은 상태에서 교과서를 읽는다. 또 시험 준비를 위해 교과서를 반복해서 읽으니 우리는 항상 회독 방법으로 교과서를 독서한 셈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에게는 책의 내용을 미리 가르쳐주는 선생님도 없고, 책 몇 권을 한 학기 내내 반복해서 읽을 시간적 여유도 없다. 따라서 미지의 세계를 여행하기 위해 일주일에 몇 권씩 책을 읽는 ‘프로 독서러’의 독서 방법은 학창 시절의 그것과 같을 수 없다.

 

신국판 사이즈의 책에는 보통 10cm 정도 길이의 행에 7~10개의 단어가 들어 있고, 한 쪽에는 그런 행이 22행가량 배치되어 있다. 이것을 읽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어 몇 개를 한꺼번에 보는 우를 범한다. 사람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눈은 5cm 이상을 한꺼번에 커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그런 눈의 능력을 믿기 때문에 우리는 독서를 할 때 눈동자의 움직임과 뇌의 인식 과정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다. 그 결과 단어들의 의미 인식에 실패하기 십상이고, 의미가 들어오지 않으니 지루하고 졸음이 금방 쏟아지는 것이 당연하다.

 

‘프로 독서러’들의 대부분은 눈동자를 움직이며 단어 단위 혹은 띄어쓰기 단위의 글자들에 초점을 맞춰 책을 읽는다. 두세 단어 단위를 흐리멍덩하게 보는 것이 아니라, 마치 카메라 렌즈에 피사체가 초점이 딱 맞는 상태로 보이는 것처럼 단어 하나하나를 초점이 딱딱 맞춰진 상태에서 읽는 것이다. 10cm 정도인 한 행을 읽을 때 눈동자는 행의 좌측 끝에서부터 띄어쓰기 단위로 단어를 쭉 보면서 행의 오른쪽 끝으로 이동한다. 이때 걸리는 시간은 대체로 1.5초 내지 2초 정도이다. 20행이 조금 넘는 한 쪽을 읽는 데 1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면 정상적인 독서를 하고 있는 것이다.

 

독서 이미지

 

 

눈 운동 독서는 매일 10분씩 한 달을 지속적으로 연습해야 가능해진다. 눈동자가 10cm의 행을 1.5초 정도의 정속도로 좌에서 우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근육 습관을 몸에 붙여야 한다. 20일 정도 반복해서 연습하면 모든 단어들이 포커싱 된 상태로 눈에 쏙쏙 들어오는 기적 같은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이게 가능해지면 그 다음 한 달 정도는 뜻 파악 연습을 하는 게 좋다. 초점이 맞은 상태에서 단어들이 읽히기는 하는데 정작 뜻은 들어오지 않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눈 근육에 신경을 쓰다 보니 뜻이 잘 들어오지 않는 경우도 있고, 뇌의 반응 속도가 눈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서 그런 경우도 있다. 두 경우 다 1개월 정도 매일 10분 동안 뜻 파악에 신경을 쓰며 눈 운동 독서 훈련을 지속하면 단어들도 쏙쏙 들어오고 뜻도 선명하게 들어오는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

 

평생을 써먹을 눈 운동 독서력을 키우는 데 2개월이 걸린다면 그 정도 수고는 감수해야 하지 않을까? 눈동자를 움직이는 덕분에 졸음이 전혀 오지 않고, 게다가 마치 빨대로 주스를 빨아 마시듯 단어의 뜻이 뇌에 쏙쏙 들어오는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데, 2개월 연습을 게을리 할 수 없다. 이 산을 넘어야 우리는 ‘프로 독서러’가 되는 초입에 들어설 수 있다.

 

생각 독서와 메모 독서

 

눈이 독서에 최적화되었다면 그 다음에는 생각을 최적화시킬 차례다. ‘프로 독서러’들은 공통적으로 생각이 많다. 책을 읽으면서 저자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융합해서 자기 나름의 서사를 생각해내고, 그 생각을 토대로 책의 내용을 기억한다.

 

‘순간의 생각’을 하지 않고 책을 읽으면 책의 내용이 자기 것이 되기 어렵다. 독서는 의미를 이해해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오감으로 느끼고 이해하는 경험의 과정과는 전혀 다른 세계이다. 경험 기억에 비해 의미 기억은 어렴풋할 때가 많아서 ‘프로 독서러’들이 하는 것처럼 자주 생각을 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두세 문단을 읽고는 머리를 들고 ‘아하, 이런 이야기구나’ 하고 ‘순간의 생각’을 해준다. 이것을 반복하다가 두세 쪽을 읽고 ‘순간의 생각’들을 쭉 이어 ‘생각의 이음’을 해주는 것도 필수다.

 

‘프로 독서러’들의 생각 독서법은 장 단위로 완성된다. 예를 들어 300쪽 짜리 책이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50여 쪽 분량의 한 개 장을 읽고 난 다음 ‘생각의 이음’을 완성한다는 이야기다. ‘이 장에서 저자가 던지는 질문은 이거였지?’, ‘그 질문에 대해 저자는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 저저런 이야기를 하고 있군.’ 하고 장 단위로 의미 서사를 생각해본다. 좀 더 나아간다면, 거기에 자신의 생각을 덧대보는 ‘자기화 생각’의 단계로 독서 방법을 진화시킬 수도 있다.

 

대부분의 ‘프로 독서러’들은 생각 독서를 반복해 책 한 권의 내용 전체를 ‘생각의 이음’으로 기억해내는 능력을 갖고 있다. 처음에는 한 개 장 단위로 ‘생각의 이음’을 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50여 쪽을 읽었을 뿐인데 저자의 질문이 무엇이었는지, 그 질문에 대해 저자가 어떤 이야기를 어떤 순서로 했는지가 거의 기억나지 않는다. 하지만 2~3권의 책을 ‘순간의 생각’과 ‘생각의 이음’을 반복하며 읽으면 놀랍게도 장 단위로 저자의 서사가 꽤 선명하게 떠오르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것을 반복하게 되면 ‘생각의 이음’의 단위가 책 한 권으로 확장된다. 책 한 권을 단위로 저자와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는 독서의 기쁨을 우리도 누릴 수 있게 된다는 이야기다.

 

독서 이미지

 

 

여기에 더하여 독서의 수준을 한층 더 높여주는 수단이 바로 메모다. 메모 독서가 좋다고 하니, 한두 쪽을 읽고는 욕심을 내서 아주 깨알같이 상세한 요약 메모를 하는 사람이 많다. 이렇게 하면 결국 시간과 정성을 너무 쏟아 부어서 이내 독서를 포기해버리기 십상이다. 요약 내용이 너무 많으니 메모를 해봤자 기억에 남지도 않는다. ‘프로 독서러’들은 메모를 그렇게 하지 않는다. 책에 100가지가 쓰여 있어도 내가 소화해서 내 것으로 남길 수 있는 내용은 20~30가지 정도라는 사실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다. ‘프로 독서러’들은 50여 쪽 되는 한 개 장을 읽고 ‘생각의 이음’을 쭉 한 다음 핵심이 되는 것만 5~10줄 정도, 그것도 키워드 위주로만 간단히 메모한다. 나머지 내용은 내 잠재성 속에 나도 모르는 사이에 새겨져 있을 것이라고 믿으면서 말이다.

 

이런 식으로 장 단위 메모를 반복하고 나서 메모한 것을 쭉 한꺼번에 보고 책 한 권의 전체 내용을 ‘생각의 이음’ 방식으로 되뇌어본다. ‘아, 이 책은 이런 질문에 이렇게 답하고 있고, 핵심적인 내용은 이것, 저것, 저저것이구나.’ 하고, 생각의 깊이와 넓이가 누적적으로 확장되는 독서의 진짜 기쁨을 만끽한다. ‘프로 독서러’들이 독서 감상록을 자주 쓰는 이유는 그 기쁨을 표현해보고 싶은 욕구가 마구 일어나기 때문이다. 의무감에 우격다짐으로 쓰는 것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독서 감상록이 이렇게 탄생한다. 책을 읽을 때마다 이런 기쁨들을 느낄 수 있다고 상상해보라. 어떻게 책이 삶의 기쁨이자 지적 성장의 원천이 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존재적 독서

 

눈 운동 독서, 생각 독서, 메모 독서를 익혀 눈 근육과 뇌 근육 모두가 독서에 최적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책 읽기가 그다지 즐겁지 않은 사람도 꽤 있다. 독서를 마치 고시 공부하듯 욕심을 내서 하면 독서의 기쁨을 깨닫기가 쉽지 않다. 목적이 승하면 과정이 정당하지 못할 수 있듯, 지식 욕심이 강하면 책을 읽어도 저자와 깨달음의 대화를 나누기 어렵다.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이 『소유냐 존재냐』(1976)에서 존재적 실존 양식(이하 존재적이라고 약함)으로서의 독서를 언급한 것은 참으로 탁월하다. ‘프로 독서러’의 기본 능력을 갖추어도 지식 소유욕을 내려놓고 대화하듯 책을 읽지 않으면 책이 내 삶에 스며들지 않는다. 물론 기본 능력을 갖추지 않으면 신경 쓸 곳이 많아 존재적 독서는 애당초 불가능하다.

 

산책을 하다 우연히 마주한 구절초의 하얀 꽃이 너무 예쁘다. ‘와, 어쩜 저렇게 맑디맑으면서도 강인할 수 있을까.’ 하고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독일의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가 본래의 존재 가치와 조우했을 때 느끼는 감정을 환희라 칭한 것이 이해가 간다. 이처럼 어떤 이는 구절초의 하얀 꽃을 보고 환희의 감각을 마음에 담으며 미소 짓는다. 구절초 꽃의 본래적 가치와의 만남은 그에게 오래오래 감동적인 기억으로 남는다. 책과의 만남이 이러할 수 있다면 얼마나 멋질까? 에리히 프롬은 이런 감각의 독서를 존재적 독서라 이름 지었다. 또 다른 어떤 이는 구절초 꽃이 너무나도 아름다워서 한 움큼을 꺾어 거실에 꽃꽂이를 해두었다. 꽃은 며칠이 지나 시들어 버리고 만다.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힘주어 공부하듯 읽는 독서를 에리히 프롬은 소유적 독서라 부르며 존재적 독서와 구별했다.

 

우리는 과연 어떤 독서를 하고자 하는가? 꽃을 마음에 담아 교감하는 독서를 할 것인가, 아니면 내 집 거실에 꽃꽂이를 하는 독서를 할 것인가? 진정한 ‘프로 독서러’는 책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외워 내 지식으로 소유하려고 기를 쓰지 않는다. 그저 저자의 말을 마음에 담아 자신의 생각과 융합하면서 기쁨을 느낄 뿐이다. 이렇게 존재적 독서를 해야만 비로소 우리는 책과 함께 존재 자체를 성장시킬 수 있다.

 

나가며

 

독서가 기쁨이려면 몸과 마음이 모두 편안해야 한다. ‘프로 독서러’라 하면 엄청 열심히 책을 읽는 사람으로 자칫 오해할 수 있다. 진정한 ‘프로 독서러’는 몸과 마음이 모두 편안한 상태에서 책을 읽는 사람들이다. 또 책을 읽음으로써 저자의 이야기가 몸에 스며드는 기쁨을 아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프로 독서러’는 자연스러운 독서를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자신을 생성(becoming)시킨다.

 

눈 운동 독서, 생각 독서, 메모 독서가 습관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힘을 빼고 책을 읽기 위해서이다. 지식을 소유하려 애쓰지 않고 존재적으로 내 몸에 스미도록 하는 이유는 책이 우리 자신을 생성시키는 샘물과도 같기 때문이다. 책과 내가 하나가 되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독서 ‘비법’이다.

 

김익한

김익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대학원 명예교수

기록학자로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대학원에서 25년간 교수로 봉직했다. 30만 구독자와 함께 ‘이타성의 자기계발’의 세계를 만들어가고 있는 유튜브 채널 “김교수의 세 가지”의 크리에이터이자 자기계발 전문 강의 플랫폼 “아이캔대학(iCanU)”의 학장이다. 저서로는 베스트셀러 『거인의 노트』(다산북스, 2023)가 있다.
ikhan@mju.ac.kr
www.youtube.com/@ican

 

커버스토리 다른 기사보기 View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