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38 2022. 11.
[‘출판 디자인’의 오늘과 내일]
권오경(서울출판예비학교 교수)
2022. 11.
역사적으로 출판은 물성을 가진 것에서 다양한 매체로 진화해왔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 많은 이들이 책의 위기를 오랫동안 말해왔다. 필자는 다변화되는 환경 가운데 출판 매체가 어떤 방식으로 확장되든, 출판 디자인에서의 글자 디자인을 보는 감각, 텍스트를 시각화하는 감각, 무엇이 좋은 디자인인지 보는 눈의 감각같이 문자 언어에서 시각 언어에 이르게 하는 고유한 본질은 변하지 않고 각 디자이너 안에 내재해 있다고 믿는다. 출판 디자인 교육은 시대가 요구하는 작업의 ‘도구’이자 디자이너가 내면의 본질적 감각을 출판 매체라는 외적 물성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기에 출판 디자인의 시작 지점인 근본적인 발상 훈련부터 숙련된 기술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의 본질을 놓지 않는 교육을 지향해야 하며 동시에 시대가 요구하는 기술적 태도를 갖게 해야 한다. 이것이 출판 디자인 교육의 역할이다.
출판 디자인과 출판 디자이너
출판 디자이너는 디자인의 재료로 건네받은 텍스트를 읽으며 책의 판형과 모양, 본문과 표지의 만듦새를 상상한다. 그 상상에는 텍스트에 속한 단어, 단어의 연결이 만들어 내는 의미 구조에 대한 디자이너의 감정적, 시지각적 기억이 영향을 미친다. 이는 텍스트의 자극으로 무의식 속 기억 흔적에 있던 것들이 의식 위로 올라와 시지각적 기억의 형태로 표면화되는 것이다.
원고를 읽을 때 디자이너의 내면에는 감정적, 인지적 자극이 동시에 일어난다. 감정적 경험은 대부분 디자이너가 지각할 수 있는 수준 아래에서 일어나며, 대체로 감정은 인지보다 앞선다. 내면에 일어나는 감정은 원고를 읽어 가는 순간마다 변화를 경험하고 그 변화는 디자인의 초기 형태인 시안 스케치가 되어 표면화될 수 있다. 감정의 과정은 지속적인 변화 속에 있기 때문에 원고를 읽는 순간마다 다른 감정으로 시각화될 수 있다.
인지적 자극 또한, ‘시각적 사고’를 통해 책 디자인으로 표면화될 수 있다. 언어를 표상하는 것은 디자이너가 그 언어에 대해 지각한 개념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등가물이며, 이러한 지각적 경험에 대해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은, 우리가 대상을 대할 때 지각의 법칙에 따라 지각 카테고리를 적용함으로써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즉, 언어를 통해 지각된 대상은 지각 카테고리가 적용된 상태에서 연구자의 기억에 머물러 있게 되고, 텍스트라는 자극을 통해 책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로서 드러난다.
다른 디자인과 차별되는 출판 디자인만의 고유성 중 하나는 내용이 녹아 있는 ‘흐름’을 갖는 면들의 집합체라는 것이다. 텍스트가 본문으로 시각화되면, ‘쪽’을 이루는 면들이 앞과 뒤의 관계 속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선형 혹은 비선형으로 흐른다. 면들이 모인 본문 덩어리는 표지에 의해 감싸이며 표지는 텍스트를 상징하는 복합체로서 시각과 촉각을 자극하며 독자와 만난다. 이처럼 복합적 디자인 과정의 양상 속에 텍스트와 디자인 간의 관계적 고유성을 드러내는 출판 분야는 디자인 교육 과정 또한 그리 간단하지 않다. 텍스트를 이해하고 디자이너만의 상상으로 이성과 감정을 통합하여 시각화하는 복잡한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필자가 재직 중인 서울출판예비학교 교육 시스템을 살펴보면서 출판 디자인 교육의 일면을 바라보고자 한다.
서울출판예비학교의 출판 디자인 교육 과정
서울출판예비학교의 출판 디자이너 과정은 텍스트를 책이라는 시각적 형태를 가진 것으로 구현하기 위한 ‘기술, 지식, 경험, 발상 교육’을 포함한다. 강사진은 출판 디자인 세부 분야의 오랜 경험과 지식을 지닌 전문가들이다. 이들은 디자인 기초와 발상, 타이포그래피, 색채, 본문과 표지 디자인, 제작 등 교육이 필요한 각각의 분야에서 학생들이 충분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짧고도 긴 호흡을 갖는 다채로운 커리큘럼을 갖추고 있다.
출판에서 디자인을 시작하기 위한 원재료인 책의 내용을 다루는 편집자와 만들어진 책을 소비자와 만날 수 있게 하는 마케터가 있듯이 디자인 분야만으로는 온전한 출판 절차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출판 편집자 과정과 출판 마케터 과정과의 책 협업 프로젝트 진행, 다양한 관련 분야 특강 참여 등으로 학생들은 출판 관계성 및 출판 교양을 학습한다. 더불어, 디자인 작업 과정에서 발현될 수 있는 정서적 영향에도 주목하며 구성원들 간의 교감에 관심을 두고 상담과 소통을 통해 내적 정서와 영감들을 풀어내는 노력을 한다.
출처: 2022년 제18기 서울출판예비학교 교육 발표회 자료집
출판 디자이너 과정은 6개월간의 교육 후 출판사에 취업하여 실무 디자이너로 첫발을 내딛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더 나아가 출판 디자인 분야의 전문인으로 성장시키는 것을 지향한다. 각 개인은 교육 과정 중 최선의 디자인 작업물을 만들어 포트폴리오로 구현하고 이를 교육 발표회에서 선보임으로써 출판사 관계자들과 면대면 소통의 시간을 갖는다.
서울출판예비학교 교육의 특징은 실무 디자이너를 양성하기 위한 현실적인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이며 그 외에 발상과 디자인 기초 훈련, 협업을 통한 소통의 훈련 등 현장에서 부딪치는 디자인 과정에서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게 도와주는 수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서울북인스티튜트(Seoul Book Institute, 약칭 SBI)는 서울출판예비학교 외에 ‘재직자직무향상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실무 디자이너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 과정을 운영함으로써 디자이너가 실무를 진행하면서 풀어야 하는 디자인적 문제의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출판 디자인 교육의 비전과 역할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출판 디자인 교육 과정에서는 감정과 인지 능력이라는 상반된 요소들이 모두 필요하다. 즉, 디자인 교육의 근본적인 바탕은 ‘지성’과 ‘본능’을 동시에 담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이 “본능의 흔적을 발견하지 못하는 지성은 없으며… 지성의 가장자리로 둘러쳐져 있지 않은 본능도 없다. 실제로는 모든 구체적 본능은 지성과 혼합되어 있고 모든 실제적 지성에는 본능이 침투하고 있다.”라고 했듯이, 마치 서로가 양 끝에 위치한 것처럼 보이는 둘을 분리하지 않고 섞어서 영롱한 빛을 뿜을 수 있게 해야 한다. 즉, 학생들에게는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감각적 본능이나 책 디자인에 필요한 도구나 지식을 익히는 이성이 동시에 필요하며 이들은 함께 어우러져 교육 커리큘럼에 녹아있어야 한다. 따라서 근본적인 감각 훈련과 시대의 필요를 담는 기술적 훈련이 출판 디자인 교육 과정에 동시에 포함되어야 한다.
디자인적 감각을 발상과 방법론적 훈련을 통해 성장시키고, 이것을 동시대가 요구하는 ‘도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구현하게 해주는 교육이 현장에서 일할 학생들의 실질적 필요에 부응하는 교육의 역할이라고 믿는다. 이를 위해 출판 디자인 전문 교육 기관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이성과 감성’, ‘감각과 인지’가 서로 조화를 이루며 교육에 녹아 있는 양상이 이상적인 출판 디자인 교육의 모습일 것이다.
참고문헌
권오경 서울출판예비학교 교수 구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반하는 건축』으로 ‘디자인이 좋은 책’ 대상을 수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