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562024.11+12.
NEWS LETTERVOL.562024. 11+12.
재고 없는 출판
POD의 세계
김동혁(서일대학교 미디어출판학과 조교수)
주문형 출판(Publish on Demand, POD)은 소량 맞춤형 제작이 가능하고, 과잉 재고 문제를 감소시키며, 절판 도서를 복원하는 데 좋다. 해외에서도 POD 출판이 확산되고 있는데, 국내외 POD 출판 플랫폼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POD출판과 아마존 KDP의 성공모델
류영호(교보문고 IP사업기획팀 팀장)
아마존의 킨들 다이렉트 퍼블리싱(KDP)은 전자책 브랜드 킨들(Kindle) 출시와 함께 성장하며 전 세계 POD 시장을 이끌고 있다. 작가 지원과 출판 고도화로 강력한 시장 경쟁력을 갖춘 아마존의 KDP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나의 자가 출판 분투기
차정은(작가)
POD 플랫폼 ‘부크크’ 베스트셀러에 오른 시집 『토마토 컵라면』. 처음에는 개인 소장을 위한 자가 출판이었는데, 어느새 베스트셀러에 오르더니 ‘작가’라는 타이틀까지 얻게 되었다. 자가 출판 과정과 그 이후는 어떨까?
모아시스 해킹 사태로 본 출판 IT 실태
최성구(사단법인 출판유통진흥원 팀장)
디지털 시대에 들이닥친 사이버 공격! 출판계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 늘어난 출판계의 사이버 공격 피해 사례를 통해 향후 대응 방안을 찾아본다.
[특별기고] 한강 이후의 한국 문학과 출판
이광호(문학평론가, 문학과지성사 대표)
2024년 한국 문학계에 잊을 수 없는 역사가 쓰여졌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제 세계 속 출판 한류가 강해짐과 동시에 이로써 다시 국내에 문학의 바람이 불어오고 있다. 한강 작가의 작품세계를 돌아보며, 그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한국 문학에 어떤 의미인지 살펴본다.
도서관의 경제적 가치
강양구(기자, 지식 큐레이터)
도서관 인프라와 이용률은 높아지고 있지만, 정작 국민 독서량은 줄고 있다. 여전히 해외에 비하면 자료 구입비, 사서 인력 충원 등 필요한 예산은 부족하고 작은 도서관은 폐관되는 경우도 있다. 앞으로 미래 도서관은 어떻게 될까?
지역서점 인증제와 도서관 등록제
이용훈(도서관문화비평가, 도연문고 대표)
책과 독자를 이어주는 서점과 도서관. 독서생태계를 안정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지역서점 인증제’와 ‘도서관 등록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잘 이행되는지 의문이다. 어떤 점들이 개선되어야 할지 자세히 알아보자.
[글로벌 출판 동향]인공지능(AI)과 2024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박소진(KPIPA 독일 수출 코디네이터)
2024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은 AI가 학술 출판과 오디오북 등 출판시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 주목했다. 기술의 발전만큼저작권, 정확성 등 논의점도 많다. 도서전 현장으로 들어가 보자.
반즈앤노블 창립자, 레너드 리지오(Leonard Riggio)가 남긴 꿈
김예진(임프리마 코리아 에이전시 대리)
미국 서점계의 스타벅스, 반즈앤노블의 창립자, 레너드 라지오가 타계했다. 대학때부터 서점과 인연을 이어온 그는 누구나 환영 받고 편안히 책을 읽을 수 있는 서점을 만들고자 노력했다. 그가 서점계에 남긴 유산을 알아보자.
[출판 한류] K-출판의 세계적 도약,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더욱 빛나다
이구용(KL매니지먼트 대표)
K-출판의 위상이 세계로 뻗어 나가고 있다. 2022년 정보라, 박상영 작가의 부커상 후보 지명부터 최근 2024년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까지 해외 출판시장에서 활기를 띠고 있는 한국 문학의 현황과 미래 전망을 알아본다.
[인터뷰] 이후북스 대표 황부농 "책방 이후는 없다"
김세나(퍼블리랜서 대표)
독립서점은 무엇인가? 독립출판물을 파는 서점? 자본에서 독립된 서점? 동네의 작은 서점으로 과연 밥벌이가 될까? 최근 곳곳에 독립서점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제주점까지 확장해 8년째 서점과 출판사를 운영하는 이후북스의 황부농 대표를 만났다.
VOL.552024.9+10.
VOL.542024.7+8.
VOL.532024.5+6.
VOL.522024.03-04.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