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21 2021. 05.
[사람과 책을 연결하는 사람들]
박수진(교보문고 북뉴스 에디터)
2021. 5.
Browser
서점에서 뉴스 콘텐츠를 만들기 시작한 이후 단 한 번도 빼먹지 않고 지금까지 하는 일이 있다. 일주일에 한 번, 그 주에 출간된 신간 리스트 전체를 뽑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그 목록을 쭉 읽어본다. 요즘은 많이 안 쓰는 단어인 것 같은데 브라우징(Browsing), 그러니까 이렇게 훑어보는 일이 별거 아닌 듯하지만 아주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내가 하는 일의 가장 큰 밑천이기 때문이다.
매일 출간되는 수많은 책 중에서 좋은 책을 골라 소개하고 추천하는 것은 오래전부터 출판계의 중요한 일이었다. 최근에는 AI 추천과 큐레이션, 구독서비스가 관심 대상이다. 빅데이터를 이용하고 알고리즘을 정교화해 독자 개개인에게 맞춤한 추천을 제공하는 것과 큐레이터의 개성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콘텐츠로 독자의 취향을 저격하는 것은 방법은 다르지만 방향은 같다. 서점에서 만드는 뉴스 콘텐츠도 결국 ‘좋은’ 책의 ‘추천’이 목적이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추천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요즘 고민이 많다. 서점 직원으로서 책을 추천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나는 AI도 아니고, 내 취향을 앞세울 만큼의 셀럽도 아니며, 권위를 가진 전문가도 아닌데 말이다.
그래서 찾은, 서점에서 뉴스 콘텐츠 만드는 사람으로서 내 일의 기본은 독자를 대신해서 어떤 책들이 출간되었는지 먼저 살펴보는 것이다. 이 책이 어떤 독자에게 어떻게 쓰일 수 있을지 가늠해보고, 독자에게 어떤 방식으로 알려주면 좋을지 생각해보고, 콘텐츠를 만들어서 독자들이 볼 수 있도록 하는 일은 모두 ‘훑어보기’를 기본으로 한다.
그 주의 신간 리스트를 읽어 내려가며 책의 제목과 저자 이름, 책 표지를 머릿속에 최대한 넣어본다. 그러면서 중요해 보이는 책들을 체크하고, 어떤 책인지 전혀 감도 안 오는 책들도 따로 체크해둔다. 그 주의 북섹션 리뷰 도서, 분야 MD들이 올린 ‘오늘의 책’ 추천 리스트, 출판사 마케터들이 미리 귀띔해준 주력 홍보 도서들에 대한 정보들도 더해본다. 여기까지 하면 이제 겨우 어느 정도 준비가 된 셈이다. 꼭 이렇게 할 필요는 없다. 다른 사람들이 추천한 책들만 가지고 콘텐츠를 만들어도 충분하다. 하지만 나는 이 단계를 빠트리면 찜찜하다. 내가 어떤 기준과 어떤 이유로 이 책을 선택하였는지에 대한 자신감이 없다면 좋은 콘텐츠를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Marketer
신간 전체를 살펴보는 무식하게 많은 인풋에 비해 아웃풋인 뉴스 콘텐츠는 숫자가 적은 편이다(내가 쓸 수 있는 시간은 하루 여덟 시간인데다, 뇌세포는 금방 피로해져서 여덟 시간 내내 풀가동할 수도 없다).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의 숫자가 정해져 있기에 콘텐츠로 풀어낼 책을 고를 때도 신중하게 된다. 그리고 선택의 기준점이 되는 것은, 별로 낭만적으로 들리진 않겠지만 내가 서점 직원, 그러니까 책을 파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서점에서 만드는 뉴스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마케팅 활동의 일환이다. 도서 판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목표로 만든다는 뜻이다. “콘텐츠만으로 화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하면 좋겠지만 지극히 현실적인 직장인으로서, 그 야망은 언젠가 꺼내보기로 하고 우선은 마음속에 간직해본다.
‘일’로서의 콘텐츠 제작은 다른 여러 도서 마케팅 활동들과 연계되어서 기획되고 릴리즈된다. 예전에는 신간 홍보와 마케팅 방식이 책마다 크게 다르지 않았다. 신간이 출간되면 출간 초기에 언론사 북섹션에 리뷰나 저자 인터뷰가 실리고, 저자 사인회가 기획되었다. 콘텐츠 제작도 그런 마케팅 일정을 따라 출간 초기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았고 콘텐츠 형식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주목할 만한 신간을 소개하고, 신간을 출간한 저자와 인터뷰를 하고, 이슈에 대해서 기획 기사를 쓰는 형태로 말이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 형태의 콘텐츠로 제작할 것인가부터 질문을 시작해야 한다. 각각의 책마다 홍보에 적합한 채널이 다르기 때문이다. ‘유튜버로 유명한 저자인데 의외로 영상 인터뷰 조회 수가 높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같은 콘텐츠인데 왜 트위터에서는 흥하고 인스타그램에서는 반응이 안 올까?’, ‘긴 지면에 실린 인터뷰를 SNS용 카드 뉴스로 가공하려고 하는데 어떤 부분을 살려야 할까?’. ‘이 책이 필요한 독자에게 닿으려면 어디로 가서 어떻게 이야기를 건네어야 하는 걸까?’와 같은 고민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하지 않았던 것들이다. 지금은 너무나 당연한 고민이 되었지만 말이다.
Reader
이렇게 써놓고 보니 콘텐츠 제작이 너무 건조한 ‘일’의 영역인 것만 같지만 나름의 로망도 있고 설레는 부분도 있다. 서점 ‘관계자’로서 하는 일 외에도, 책과 독서를 놓을 수 없는 ‘찐’ 독자로서 하고 싶은 일, 또는 할 수 있는 일도 많기 때문이다.
아까 잠시 마음속에 넣어두었던 야망을 꺼낼 때이다. 재미도 있고 가치도 있고 심지어 내 취향인, 그래서 더 많은 독자에게 알리고 싶은 책인데 마케팅과 홍보가 여의치 않은 경우가 있다. 그런 책을 발굴해서 콘텐츠를 통해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반응(=도서 판매)을 이끌어내는 일은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일일 것이다. ‘내가 만든 콘텐츠로 이 책을 역주행시키겠다!’라는 야심 말이다. 물론 나는 아직 실현해 본 적 없는 ‘로망’의 영역이라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런데 늘 경계해야 하는 것이 있다. 자칫하면 ‘나’의 취향에 매몰되어서 ‘나’를 위한 콘텐츠를 만들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내 취향의 책을 만나면 오히려 더 따지고 들게 된다. ‘이 책을 원하는 독자가 몇 명 정도 될 거라고 생각해?’, ‘이 책을 통해서 어떤 메시지를 전할 수 있는데?’, ‘그 메시지가 다른 사람에게도 정말 중요한 거야?’ 등과 같은 질문으로 내가 좋아하는 것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보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이 모든 의심을 거친 후에도 더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 싶은 책이 있다면, 그때는 폭주(?)해도 괜찮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전작을 소개했던 기획, 온갖 버전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모았던 기획 등은 아무리 생각해도 ‘찐 광기’였지만 지금 봐도 괜찮은 콘텐츠라고 생각한다. 덕업일치가 만들어낸 아름다운 결과물이랄까.
나의 독서 나침반
독자들이 책을 고를 때 내가 만든 콘텐츠를 참고하고 신뢰한다면 참 보람을 느낄 것 같다. 하지만 더 이상적인 것은 독자들이 스스로 자신에게 맞는 책을 탐색하고 발견하는 것이다. 자신이 읽고 싶은 책을 직접 고를 수 있는 독자에게 필요한 콘텐츠라면, 그것은 책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만을 담은 목록 형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목록 형태의 책을 좋아한다. 하나의 주제와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담은 사전 형식의 책도 좋아한다. 그런 책들은 읽어갈수록 조금씩 지식이 쌓여가고, 한 권을 다 읽으면 머릿속에 그 분야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 구조화된다. 마냥 신나게 책장을 넘길 수 있는 책은 아니지만, 야금야금 읽는 맛이 매력적이고 다 읽고 나면 포만감과 만족감이 느껴지는 장르이다.
최근에 읽고 감탄한 책이 있는데, 독보적인 아티스트 데이비드 보위의 모든 순간을 기록한 『더 컴플리트 데이비드 보위』다. 948쪽이라는 어마어마한 분량도 분량이지만 데이비드 보위의 모든 곡을 A-Z 순으로 배열해 정리한 것이 압권이었다. 연대기순도 아니고, 주제별도 아니고, 앨범별도 아니고, 노래를 A-Z 순으로 정리하다니, 어디서도 보지 못한 신박한 정리법이었다. 그런데 그런 방식으로 정리했을 때 더 선명해지는 것이 분명히 있었다. 같은 정보라도 어떤 방식으로 조직하고 배열하고 제시하느냐에 따라 굉장히 다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 사례였다. 물론 가장 존경스러운 점은, 데이비드 보위의 커리어와 삶 전반에 대한 자료를 오랜 시간에 걸쳐 샅샅이 찾아내 거의 1,000쪽에 달하는 대작으로 만들어낸 것이지만 말이다.
-
일주일에 한 번씩 신간 리스트를 뽑아서 읽어보는 일과 함께하는 또 다른 정기적인 의례가 있다. 책상에 쌓인 신간 도서들을 한 번씩 들춰보는 일이다. 매주 출판사에서 다양한 책들을 보내온다. 그 책들을 모두 다 소개할 수는 없다. 다 읽어볼 수도 없다. 하지만 적어도 책 표지를 열어 조금이라도 읽어보려고 노력한다. 그 책을 만들기 위해 정말 많은 사람이 애썼다는 것을 알고 있고, 어떻게든 알리고 싶은 마음으로 서점 뉴스 콘텐츠 담당자에게 책을 보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출판사에서 보내온 책들을 읽을 때면, 출판계 관계자가 아니라 그저 한 명의 독자가 된다.
출판사 관계자 여러분, 여러분이 보낸 책은 적어도 한 명의 독자가 읽었습니다. 소개하지 못한 책들도 소중한 마음으로 읽어봅니다. 잘 기억해두었다가 나중에 필요할 때 소환해낼게요. 박수진(교보문고 북뉴스 에디터) 교보문고에서 뉴스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 웹진에 기획 기사와 저자 인터뷰를 게재하던 일이 이제는 유튜브 채널의 콘텐츠 기획과 SNS용 콘텐츠 제작까지 확장되었다. 그 변화를 경험하면서 책과 콘텐츠와 미디어에 대해서 계속 고민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