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사이드

Vol.16  2020.11.

게시물 상세

 

[책과 공간 2]
일(Work)과 삶(Life)의 균형, 책문화공간
열린숲도서관

 

 

 

 

2020. 11.


 

 

도서관,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를까? 정숙을 요구하는 분위기, 조용하고 묵직함에 어딘지 경직된 듯한 분위기가 떠오르지는 않나? 대한민국 기술 혁신의 선두에 있는 구로디지털단지에는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도서관과는 조금 다른 도서관이 있다. 바로 ‘열린숲도서관’이다.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독서 토론을 하기도 하고, 아이와 함께 방문해 그림책을 읽어 주기도 하는 열린숲도서관은 기업 건물 내에 위치한 국내 최초 도심형 도서관으로서, 근처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의 쉼터가 되어주기도 한다. 바쁘고 지친 일상 속에 한 줌의 여유를 선사하는 안락한 공간, 열린숲도서관으로 떠나 보자.

 

 


열린숲도서관 전경 (사진 출처: 열린숲도서관)


열린숲도서관 전경 (사진 출처: 열린숲도서관)

 

 

 

디지털숲에 환히 열린 책길

 

삼성IT밸리 1층 로비에 소재한 열린숲도서관은 (재)우리도서관재단과 삼성IT밸리운영위원회가 함께 개관한 의미 있는 책문화공간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삭막하고 분주해 보이는 디지털단지 빌딩숲에 여유로움이 가득한 책문화공간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통의 사내도서관과 다르게 기업과 재단이 함께 도서관을 운영하며, 건물에 입주한 직장인뿐만 아니라 주민에게도 개방해 독서인구 증진에도 힘을 보태고 있는 것 또한 의미가 있다.

 

열린숲도서관은 주말과 국가공휴일, 국가 지정 임시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운영하며, 도심 속 숲을 테마로, 도서관 문화를 누리기 어려운 직장인이 일(Work)과 삶(Life), 그리고 충전(Play)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책과 음악이 함께하는 곳이다. 최근 여러 기업이나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작은 도서관 혹은 북카페 형태의 공간을 마련하고 편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일상 곳곳에 책문화공간이 별도로 생겨나는 까닭은 바쁜 일상 가운데 지친 삶을 돌보며, 마음의 위안과 휴식을 주고 삶의 지혜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사람들은 서로 자연스럽게 책 이야기를 나누며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고, 또 다른 삶으로 한 걸음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다양한 책이 비치되어 있는 서가 (사진 출처: 열린숲도서관)


다양한 책이 비치되어 있는 서가 (사진 출처: 열린숲도서관)

 

열린숲도서관에는 다양한 도서가 비치되어 있다. 아동도서부터 성인도서까지 보유 장서 폭이 굉장히 넓으며, 그 수가 무려 10,453권(2020년 10월 14일 기준)에 달한다. 그중 문학이 장서 구성의 절반 가까이 차지한다. 문학 도서는 출판연도를 불문하고 베스트셀러, 스테디셀러 종류를 소장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경제/경영 영역에 속하는 사회과학 도서가 많다. 사회과학 도서는 경제/경영, 자기계발, 경영전략/혁신, 인터넷마케팅, 투자/재테크 등 큰 범주에서 ‘경제/경영’ 카테고리에 맞게 주제 전문 서가를 특화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지난여름, 이례적으로 길었던 장마와 같은 세계 곳곳의 기후이상현상과 연결하여 전 세계적 관심사인 기후위기와 관련된 책을 큐레이션한다. 또한 2014년 도서정가제 시행 이후, 우리가 사는 동네 곳곳에 생기고 있는 작은책방에 주목하고, 다양한 책을 소개하고자 1인 독립출판물도 큐레이션하고 있다. 열린숲도서관의 영문 명칭(Open Forest Library)에서 따온 FOREST의 스펠링을 근간으로 Food(먹거리), Occupation(직업), Rest(충전), Eco(친환경), Smart(스마트산업), Travel(여행)이라는 주제별 북큐레이션을 진행하기도 한다. 도서관 문 앞 전시 서가에서 진행하는 주제별 북큐레이션은 쉽게 눈에 띄고, 주제 또한 흥미롭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많은 관심을 가진다. 다양한 책과 세심한 큐레이션으로 이루어진 열린숲도서관은 삶에 지친 직장인에게 힐링을 주는 안락한 문화공간이다.

 


기후위기 큐레이션 서가 (사진 출처: 열린숲도서관)


기후위기 큐레이션 서가 (사진 출처: 열린숲도서관)

 

 

 

형식에서 벗어나 소통과 혁신으로

 

열린숲도서관의 가장 큰 특징은 보편적인 도서관 이미지에서 벗어나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추구하는 것이다. 소통과 협력을 중시하는 현 사회적 추세에 맞게 도서관 내에서는 독서뿐만 아니라 대화, 전화 통화가 가능하다. 카페테리아에서 차나 커피를 마시며 독서를 하는 이용객의 모습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또한 회의용 책상이 마련되어 있어 독서와 함께 소통을 유도한다. 잔잔한 음악이 흘러나오는 것은 덤이다. 이는 IT, 경제산업이 밀집된 구로디지털단지의 바쁜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을 활용해 동료와 자발적 독서 토론을 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직장 근처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와 함께 방문하여 아이에게 그림책을 읽어 주기도 하고, 아예 아이디어 회의와 같은 업무 미팅을 하기도 한다. 오래전부터 많은 이들이 기대해 온 책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와 관련된 이슈에 대해 토론하고, 책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자들이 서로 소통하는 문화공간의 역할을 열린숲도서관이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도서관 내 카페테리아 (사진 출처: 열린숲도서관)


도서관 내 카페테리아 (사진 출처: 열린숲도서관)

 

직장인과 더불어 구로디지털단지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의 이용도 활발하다. 주로 점심시간에는 직장인이, 점심 이후 오후 시간에는 주민들이 이용한다. 공공도서관까지 가는 데 거리가 있는 지역주민들이 가까운 열린숲도서관에 방문하여 자녀와 함께 그림책과 보고 싶은 책을 대출하기도 하고, 구로구의 지원을 받은 도서관 프로그램에도 참여한다. 가장 눈여겨볼 점은 한 번 오고 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도서관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접근성과 편의성을 두루 갖춘 이상적인 책문화공간이 있다면 열린숲도서관이 아닐까.
현재 열린숲도서관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과 방역 수칙에 따라 제한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 하지만 팬데믹 상황이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독서 열기는 막지 못하고 있다고 열린숲도서관은 말한다. 위기 상황 속에서도 독서는 SNS를 통한 7days 7cover 독서 운동 등 다양한 형태로 사람들과 소통하는 창구가 되며, 지친 마음에 위안을 주고, 위기 상황을 지혜로 전환하는 매개체가 되어 주고 있다. 특히 비대면 독서 환경은 오디오북, 전자책 등 다양한 디지털 자료의 형태와 아날로그 도서가 공존해 여전히 독서는 우리 삶에 밀착되어 있다. 열린숲도서관은, 이러한 위기의 순간에 우연히 마주친 한 권의 책이 삶을 변화시키고, 나아가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강한 힘이 있다고 말하며, 이 국란을 헤쳐나가고 있다. 코로나19가 속히 종식되어 열린숲도서관 또한 새롭게 활기를 띤 모습을 찾기를 기대한다.

 

 

 

지역 내 낙원이 되는 도서관

 

구로디지털단지 유일의 책문화공간인 열린숲도서관은 지역사회의 발전 측면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활동을 한다. 바로 책 나눔 활동이다. 사회적 이슈와 FOREST 키워드 기반 주제별 북큐레이션과 함께 소장 가치가 높은 도서를 선정하여 전시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이에게 나눔 활동을 하는 것이다. 나눔 활동은 북큐레이션과 함께 지역 내 독서인구 증진에도 힘을 보태며, 나눔을 통해 제한된 서가 공간을 적절하게 운영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가진다.

 

 


주제별 키워드 전시 서가(좌), 소장 도서 나눔 서가(우)


주제별 키워드 전시 서가(좌), 소장 도서 나눔 서가(우) (사진 출처: 열린숲도서관)

 

책이 있고, 소통이 있어 우리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곳이 있다면 그곳은 바로 우리 삶의 터전에 오랫동안 존재해 온 도서관일 것이다. 아르헨티나 소설가이자, 국립도서관장을 역임한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는 “지상 최대의 낙원은 도서관”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앞으로도 열린숲도서관이 지역 내에서 책과 함께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책문화공간이 되길 바란다.

 

 

열린숲도서관 추천 도서

 

열린숲도서관에서 추천하는 직장인 베스트도서는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2019, 허블), 『총, 균, 쇠』(2013, 문학사상사), 『플랫폼 자본주의』(2020, 킹콩북)이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총, 균, 쇠』


『총, 균, 쇠』


『플랫폼 자본주의』


『플랫폼 자본주의』

먼저 소개할 도서는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다. 이 책의 가장 처음에 실린 단편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는 뛰어난 과학자 릴리 다우드나의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로 유전자 선택이 가능해진 미래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벽함의 범주에 속하지 못한 사람들은 경계 밖으로 밀려난다. 이들은 결함이 있는 아이들로만 구성된 마을을 생성하는데, 그곳에는 차별, 혐오를 포함한 사랑까지 모든 감정이 부재하다. 평화로운 마을이지만 일부 아이는 성년이 되면 떠나는 순례에서 돌아오지 않는다. 이는 시대가 바뀌어도 외로움, 쓸쓸함, 인간 소외 문제는 변하지 않는 현상에 대해 독자로 하여금 생각할 거리를 던져 준다.

 

다음으로 소개할 도서는 『총, 균, 쇠』이다. 진화생물학자인 재레드 다이아몬드가 저술한 이 책은 각 대륙의 문명이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 이유를 인종적 민족적 차이가 아닌 환경적 요소 때문이라고 짚는다. 이와 함께 생태지리학, 생태학, 유전학, 병리학, 문화인류학, 언어학 등 여러 학제적 요소를 설득력 있게 표현하며 인종주의적 이론을 무너뜨린다. 방대한 분량이지만,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 팬데믹 시대에 찬찬히 들여다보기 좋은 도서이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도서는 닉 서르닉이 저술한 『플랫폼 자본주의』이다. 이 책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플랫폼 경제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자본의 행위와 경쟁이라는 관점에서 디지털 경제를 다루고 있지만, 사유화된 플랫폼이 유발하는 반사회적, 반생태적 결과뿐 아니라 이에 저항하는 플랫폼 자본의 현실을 진단하며, 더 나아가 플랫폼 공동의 미래에 대한 대안적 통찰을 제공한다.

 

 

人사이드 다른 기사보기 View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