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IPA 출판산업 동향 ②] 2022년 하반기 출판 통계 지수(생산·판매·소비) 동향
출판정책연구팀
2023. 05.
(1) 출판 동향
•
출판 경기동향의 이해를 돕는 통계청의 연관 통계로 ‘서비스업 동향조사’와 ‘가계동향조사’가 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에서 매 반기 발간하는 KPIPA 출판산업동향 보고서에선 이 통계 지수를 인용해 출판업의 생산, 판매, 소비 동향을 살펴보고 있다. 2022년 하반기 보고서에 수록 및 발표할 내용을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 선 공개한다.
* 국가통계포털(KOSIS) 내 ‘서비스업 동향조사’ 등의 설명 자료에 따르면, 해당 지수는 2023년 2월부터 2020년을 기준으로 지수를 개편하여 공표하고 있다.(이전 공표자료는 2015년 기준으로 산출)
가) 생산 지수: 통계청 서비스업 동향조사, 서비스업 생산 지수(서적출판업)
•
2020년을 기준으로 한 하반기 서적출판업 생산 지수(불변지수 기준)는 2014년 이후 지속 감소, 2018년에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 뒤 2019년에 일시적으로 상승, 다시 완만한 하락세를 보였다. 2022년 하반기 생산 지수는 107.1로, 전년 동기 대비 0.8p 감소하였다.
서적출판업 생산 지수 하반기 추이(2013년~2022년)

서적출판업 생산 지수 하반기 추이(2013년~2022년)
|
(기준: 2020년 연간 지수 = 100)
|
업종
|
항목
|
2013년 하반기
|
2014년 하반기
|
2015년 하반기
|
2016년 하반기
|
2017년 하반기
|
2018년 하반기
|
2019년 하반기
|
2020년 하반기
|
2021년 하반기
|
2022년 하반기
|
서적출판업 |
경상지수1) |
120.6 |
122.5 |
118.8 |
109.2 |
102.7 |
101.8 |
114.2 |
110.9 |
109.0 |
111.9 |
불변지수2) |
134.2 |
133.4 |
125.5 |
114.3 |
105.8 |
103.8 |
114.8 |
110.9 |
107.9 |
107.1 |
•
동 생산 지수의 월별 추이를 살펴보면, 하반기 월별 생산 지수는 12월에 가장 높고 8월과 9월에 낮았는데, 전반적으로 7월 이후 생산 지수가 낮아지다 10월부터 반등, 연말에 임박할수록 생산 지수가 급격히 상승하는 추세를 공통적으로 보였다. 2019년엔 이례적으로 10월의 생산 지수(124.2)가 11월(109.9)보다 더 높은 지수를 보였다.
•
하반기 각 월 생산 지수의 연도별 추이는 앞선 하반기 추이와 유사하게, 2013년 이후 감소하다 2019년에 상승 후 다시 완만한 하락세를 보였다.
서적출판업 생산 지수 하반기 월별 추이(2013년~2022년) ①

서적출판업 생산 지수 하반기 월별 추이(2013년~2022년) ②

서적출판업 생산 지수 하반기 월별 추이(2013년~2022년)
|
(기준: 2020년 연간 지수 = 100)
|
업종 |
연도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서적출판업 |
2013 |
105.7 |
117.6 |
92.0 |
102.4 |
90.0 |
100.2 |
99.5 |
110.7 |
126.3 |
140.6 |
209.8 |
233.4 |
2014 |
104.5 |
114.2 |
86.3 |
94.2 |
81.0 |
88.5 |
117.2 |
128.0 |
147.2 |
160.7 |
198.8 |
214.7 |
2015 |
102.2 |
108.4 |
77.9 |
82.4 |
67.7 |
71.6 |
116.2 |
123.0 |
140.9 |
149.1 |
207.6 |
218.2 |
2016 |
94.5 |
99.0 |
77.3 |
81.1 |
72.4 |
75.8 |
113.6 |
119.1 |
120.4 |
126.2 |
176.9 |
184.7 |
2017 |
88.1 |
91.0 |
69.7 |
72.0 |
69.8 |
72.1 |
85.6 |
88.4 |
117.4 |
121.2 |
185.6 |
190.0 |
2018 |
90.9 |
93.2 |
83.9 |
86.0 |
78.7 |
80.7 |
83.1 |
85.1 |
99.8 |
101.2 |
174.4 |
176.5 |
2019 |
90.9 |
91.4 |
91.1 |
91.6 |
92.0 |
92.6 |
123.5 |
124.2 |
109.3 |
109.9 |
178.3 |
178.9 |
2020 |
95.2 |
95.2 |
91.3 |
91.3 |
89.4 |
89.4 |
96.5 |
96.5 |
110.9 |
110.8 |
181.9 |
181.9 |
2021 |
90.0 |
89.6 |
87.6 |
87.2 |
83.4 |
83.0 |
98.8 |
98.0 |
107.9 |
107.0 |
186.3 |
182.6 |
2022 |
87.8 |
84.5 |
88.7 |
85.3 |
86.1 |
82.8 |
99.5 |
95.3 |
119.9 |
114.7 |
189.4 |
179.9 |
나) 판매 지수: 통계청 서비스업 동향조사, 소매 판매액 지수(서적·문구)
•
최근 6년간의 하반기 서적·문구 소매업 판매액 지수(상품군별, 불변지수 기준) 추이는, 2018년에 가장 높았다 이듬해 다소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락세를 보인 후, 2020년 이후론 소폭 감소하며 앞선 생산 지수 추이와는 상반된 경향으로 나타났다. 2022년 하반기 판매액 지수는 96.6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p 감소하였다.
서적·문구 소매업 반기별 판매액 지수 하반기 추이(2017년~2022년)

서적·문구 소매업 반기별 판매액 지수 하반기 추이(2017년~2022년)
|
(기준: 2020년 연간 지수 = 100)
|
상품군별 |
항목
|
2017년 하반기
|
2018년 하반기
|
2019년 하반기
|
2020년 하반기
|
2021년 하반기
|
2022년 하반기
|
서적·문구 소매업 |
경상지수 |
96.8 |
102.9 |
94.1 |
99.7 |
99.5 |
100.6 |
불변지수 |
98.8 |
103.1 |
93.3 |
99.7 |
98.6 |
96.6 |
•
동 판매액 지수의 월별 추이에선 대체로 연중 7월 이후 점차 감소하다 11월 무렵 반등, 12월에 가장 높은 판매액 지수를 기록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2017년과 2020년엔 이례적으로 7월의 판매액 지수가 8, 9월보다 낮은 특징이 있었다.
•
하반기 각 월 판매액 지수의 연도별 추이는 앞선 하반기 추이와 유사하게, 2018년에 높았고 2019년엔 낮았다. 2022년의 하반기 월별 판매액 지수도 9월과 12월을 제외하면 대체로 가장 낮았는데, 특히 10월의 판매액 지수는 조사 기간 내 가장 낮았다.
서적·문구 판매액 지수 하반기 월별 추이(2013~2022) ①

서적·문구 판매액 지수 하반기 월별 추이(2013~2022) ②

서적·문구 판매액 지수 하반기 월별 추이(2013년~2022년)
|
(기준: 2020년 연간 지수 = 100)
|
상품군별 |
연도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경상 지수
|
불변 지수
|
서적·문구 |
2013 |
98.9 |
108.4 |
93.9 |
103.1 |
90.8 |
99.6 |
86.1 |
94.4 |
85.7 |
93.7 |
106.9 |
116.4 |
2014 |
101.7 |
108.8 |
95.6 |
102.2 |
94.5 |
101.1 |
88.3 |
94.5 |
100.5 |
107.6 |
107.4 |
113.0 |
2015 |
96.5 |
100.4 |
90.6 |
94.2 |
89.2 |
92.8 |
86.2 |
89.7 |
88.6 |
92.2 |
112.2 |
116.6 |
2016 |
101.6 |
105.4 |
95.7 |
99.5 |
93.5 |
96.9 |
90.0 |
93.2 |
93.1 |
96.0 |
114.8 |
118.1 |
2017 |
97.2 |
99.1 |
97.7 |
99.7 |
99.8 |
101.9 |
89.5 |
91.3 |
99.7 |
101.7 |
123.9 |
126.0 |
2018 |
107.0 |
107.4 |
101.9 |
102.2 |
100.4 |
100.8 |
95.5 |
95.8 |
99.1 |
99.2 |
125.2 |
125.2 |
2019 |
99.0 |
98.2 |
93.9 |
93.2 |
92.6 |
92.0 |
87.6 |
87.1 |
90.1 |
89.4 |
115.4 |
114.4 |
2020 |
92.8 |
93.0 |
99.5 |
99.6 |
100.6 |
100.6 |
90.4 |
90.5 |
90.3 |
90.4 |
119.5 |
119.2 |
2021 |
102.0 |
101.3 |
93.4 |
92.8 |
97.3 |
96.5 |
89.4 |
88.6 |
93.1 |
92.3 |
125.5 |
123.6 |
2022 |
98.8 |
95.2 |
97.9 |
94.3 |
98.9 |
95.1 |
90.5 |
86.9 |
94.0 |
90.2 |
126.3 |
120.4 |
•
서적·문구의 업태별 판매액 지수(불변지수 기준)에선, 2017년엔 전문소매점 지수가 무점포 소매점보다 월등히 높았으나 이후 그 차이가 점차 줄어들며 2020년부턴 역전 현상을 보였다. 2022년 하반기 서적·문구의 무점포 소매 지수는 98.5로 전문소매점 지수보다 3.7p 높았으나, 전년 동기 업태별 지수들보단 소폭 감소하였다.
서적·문구 업태별 판매액 지수 하반기 추이(2017년~2022년)

서적·문구 업태별 판매액 지수 하반기 추이(2017년~2022년)
|
(기준: 2020년 연간 지수 = 100, 불변지수)
|
업태3)별
|
2017년 하반기
|
2018년 하반기
|
2019년 하반기
|
2020년 하반기
|
2021년 하반기
|
2022년 하반기
|
전문소매점 서적·문구 |
122.1 |
118.0 |
106.4 |
94.2 |
96.9 |
94.8 |
무점포 소매 서적·문구 |
75.4 |
88.3 |
80.3 |
105.2 |
100.3 |
98.5 |
다) 소비 지수: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월평균 오락·문화비 및 서적구입비
•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로 살펴본 서적구입비 추이에 따르면, 전국 가구(1인 이상)의 2022년 하반기 월평균 오락·문화비(169,497원)에서 서적구입비(9,241원)가 차지하는 비율은 5.5%로, 전년 동기의 구성비보다 2.1%p 감소하였다.
•
가구당 월평균 오락문화비는 코로나19의 여파로 2020년에 이르러 급감(172,196원→132,751원, 22.9% 감소)한 뒤, 점차 회복세를 보여 2022년 하반기는 2019년 하반기와 비슷한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반면 서적구입비는 2019년 하반기까지 지속 하락 후 2020년과 2021년에 소폭 높아졌으나, 2022년 하반기에 이르러 가장 낮은 지출액(9,241원)을 기록했다.
월평균 오락·문화비와 서적구입비 하반기 변화 추이(2013년~2022년)

월평균 오락·문화비와 서적구입비 하반기 변화 추이(2013년~2022년)
|
(단위: 원, %)
|
항목
|
구분
|
2013년 하반기
|
2014년 하반기
|
2015년 하반기
|
2016년 하반기
|
2017년 하반기
|
2018년 하반기
|
2019년 하반기
|
2020년 하반기
|
2021년 하반기
|
2022년 하반기
|
오락·문화 |
금액 |
137,538 |
143,286 |
152,825 |
146,724 |
173,340 |
189,363 |
172,196 |
132,751 |
141,612 |
169,497 |
서적 |
금액 |
17,940 |
17,639 |
15,982 |
13,896 |
12,225 |
12,057 |
9,970 |
11,038 |
10,785 |
9,241 |
구성비 |
13.0 |
12.3 |
10.5 |
9.5 |
7.1 |
6.4 |
5.8 |
8.3 |
7.6 |
5.5 |
지수(2020년 하반기를 100으로 하여 비교함) |
오락·문화 |
금액 |
103.6 |
107.9 |
115.1 |
110.5 |
130.6 |
142.6 |
129.7 |
100.0 |
106.7 |
127.7 |
서적 |
금액 |
162.5 |
159.8 |
144.8 |
125.9 |
110.8 |
109.2 |
90.3 |
100.0 |
97.7 |
83.7 |
구성비 |
156.9 |
148.1 |
125.8 |
113.9 |
84.8 |
76.6 |
69.6 |
100.0 |
91.6 |
65.6 |
출처: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실질지수)를 가공 주: ① 하반기 지수는 분기별 통계청 공표 지수(3, 4분기)를 평균하여 계산함(2017년과 2018년 통계는 연간 자료로만 공표되어 예외) ② 2017년과 2018년 가계동향조사에서 ‘가구원 수 1인 이상’을 대상으로 연간 기준 지출 자료를 공표함에 따라, 이후 자료는 이와 동일한 1인 이상 가구 기준 자료를 인용함. 2016년 이전의 인용 자료(2인 이상 가구 기준)와의 시계열 비교는 해당 기준 차이에 유의하여야 함.
|
•
연간 단위로 살펴본 월평균 소비지출액에서 오락·문화비는 전체의 6.7%, 이 중 서적구입비는 전체의 0.4%를 차지했는데 전년 대비 오락·문화비는 15.1% 증가, 서적구입비는 1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 현황(2019년~2022년)
|
(단위: 원, %)
|
구분
|
금 액
|
증감률(전년 동기 대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구성비
|
소비지출
|
2,469,867
|
2,400,123
|
2,434,004
|
2,451,029
|
100.0
|
△3.6
|
△2.8
|
1.4
|
0.7
|
식료품·비주류음료
|
347,275
|
381,056
|
375,063
|
347,324
|
14.2
|
△9.3
|
9.7
|
△1.6
|
△7.4
|
주류·담배
|
35,916
|
37,531
|
38,872
|
38,085
|
1.6
|
1.6
|
4.5
|
3.6
|
△2.0
|
의류·신발
|
139,196
|
118,085
|
125,042
|
131,280
|
5.4
|
△9.3
|
△15.2
|
5.9
|
5.0
|
주거·수도·광열
|
278,012
|
285,822
|
293,455
|
282,053
|
11.5
|
△4.2
|
2.8
|
2.7
|
△3.9
|
가정용품·가사서비스
|
115,361
|
126,729
|
127,641
|
109,864
|
4.5
|
△3.6
|
9.9
|
0.7
|
△13.9
|
보건
|
205,326
|
220,558
|
226,592
|
230,156
|
9.4
|
5.3
|
7.4
|
2.7
|
1.6
|
교통
|
290,549
|
288,848
|
269,678
|
270,899
|
11.1
|
△13.6
|
△0.6
|
△6.6
|
0.5
|
통신
|
120,462
|
119,775
|
124,939
|
128,141
|
5.2
|
△6.1
|
△0.6
|
4.3
|
2.6
|
오락·문화
|
178,475
|
139,539
|
141,996
|
163,459
|
6.7
|
△5.7
|
△21.8
|
1.8
|
15.1
|
|
서적
|
10,960
|
11,144
|
11,163
|
10,036
|
0.4
|
△9.1
|
1.7
|
0.2
|
△10.1
|
교육
|
200,410
|
159,087
|
179,962
|
199,291
|
8.1
|
17.5
|
△20.6
|
13.1
|
10.7
|
음식·숙박
|
348,987
|
319,220
|
328,733
|
358,991
|
14.6
|
△2.9
|
△8.5
|
3.0
|
9.2
|
기타 상품·서비스
|
210,214
|
203,873
|
201,800
|
194,032
|
7.9
|
5.5
|
△3.0
|
△1.0
|
△3.8
|
출처: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실질지수)를 가공
|
(2) 기타 출판 통계
가) 인터넷서점 매출 추이: 통계청 온라인쇼핑 동향조사, 온라인몰 서적거래액 매출 추이
•
통계청의 온라인쇼핑 동향조사에 따르면, 2022년 하반기 온라인상 서적 거래액은 1조 2,352억 4,300만 원이며, 이 중 온라인 전용몰의 서적 거래액은 4,820억 9,400만 원으로 전체 서적 거래 매출의 39.0%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 거래액보다 13.5% 감소한 것이며, 매출 구성비로는 3.9%p 더 낮아진 결과이다.
인터넷서점 하반기 매출 추이 - 운영형태별(2018년~2022년)

인터넷서점 하반기 매출 추이(2018년~2022년)
|
(단위: 백만 원, %)
|
구분 |
2018년 하반기 |
2019년 하반기 |
2020년 하반기 |
2021년 하반기 |
2022년 하반기 |
거래액
|
구성비
|
거래액
|
구성비
|
거래액
|
구성비
|
거래액
|
구성비
|
거래액
|
구성비
|
서적 거래 |
868,116 |
100.0 |
917,839 |
100.0 |
1,238,313 |
100.0 |
1,297,217 |
100.0 |
1,235,243 |
100.0 |
운영 형태별 |
온라인 전용몰 |
293,347 |
33.8 |
327,497 |
35.7 |
517,203 |
41.8 |
557,083 |
42.9 |
482,094 |
39.0 |
온·오프라인 병행몰 |
574,770 |
66.2 |
590,346 |
64.3 |
721,109 |
58.2 |
740,136 |
57.1 |
753,149 |
61.0 |
취급상품 범위별 |
종합몰 |
276,676 |
31.9 |
301,201 |
32.8 |
441,837 |
35.7 |
461,756 |
35.6 |
409,768 |
33.2 |
전문몰 |
591,440 |
68.1 |
616,638 |
67.2 |
796,476 |
64.3 |
835,461 |
64.4 |
825,475 |
66.8 |
출처: 통계청, 온라인쇼핑 동향조사 주: 하반기 지수는 분기별 통계청 공표 지수(3, 4분기)를 평균하여 계산함
|
•
2022년 하반기 온라인 서적 전체 거래액 추이는 여름(7, 8월)에 비교적 높았다 9월과 10월에 다소 하락, 뒤 11월 이후 연말까지 다시 거래액이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며 8월(약 2,213억 원)과 12월(약 2,205억 원)의 거래액이 가장 높았고, 10월(약 1,736억 원)에 가장 낮았다. 온라인 전용몰의 서적 거래액도 이와 전반적으로 비슷했으나, 온·오프라인 병행몰에선 9월과 12월의 거래액이 가장 높았던 반면, 온라인 전용몰에선 7월과 8월의 거래액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
2022년 하반기 인터넷서점 월별 매출 추이

2022년 하반기 인터넷서점 월별 매출 추이
|
(단위: 백만 원, %)
|
구분 |
7월 |
8월 |
9월 |
거래액
|
구성비
|
증감률
|
거래액
|
구성비
|
증감률
|
거래액
|
구성비
|
증감률
|
서적 거래 |
214,250 |
100.0 |
△3.5 |
221,277 |
100.0 |
1.8 |
205,217 |
100.0 |
△0.1 |
운영 형태별 |
온라인 전용몰 |
87,197 |
40.7 |
△4.3 |
96,814 |
43.8 |
3.2 |
68,829 |
33.5 |
△15.1 |
온·오프라인 병행몰 |
127,053 |
59.3 |
△2.9 |
124,463 |
56.2 |
0.7 |
136,389 |
66.5 |
9.7 |
취급상품 범위별 |
종합몰 |
67,905 |
31.7 |
△17.9 |
70,373 |
31.8 |
△14.0 |
65,173 |
31.8 |
△10.9 |
전문몰 |
146,345 |
68.3 |
5.0 |
150,904 |
68.2 |
11.3 |
140,044 |
68.2 |
5.9 |
|
구분 |
10월 |
11월 |
12월 |
거래액
|
구성비
|
증감률
|
거래액
|
구성비
|
증감률
|
거래액
|
구성비
|
증감률
|
서적 거래 |
173,564 |
100.0 |
△6.0 |
200,463 |
100.0 |
1.7 |
220,472 |
100.0 |
△14.7 |
운영 형태별 |
온라인 전용몰 |
62,306 |
35.9 |
△10.7 |
81,114 |
40.5 |
2.7 |
85,834 |
38.9 |
△16.5 |
온·오프라인 병행몰 |
111,258 |
64.1 |
△3.2 |
119,348 |
59.5 |
1.1 |
134,638 |
61.1 |
△13.5 |
취급상품 범위별 |
종합몰 |
58,614 |
33.8 |
△7.0 |
66,345 |
33.1 |
1.2 |
81,358 |
36.9 |
△14.4 |
전문몰 |
114,950 |
66.2 |
△5.6 |
134,118 |
66.9 |
2.0 |
139,114 |
63.1 |
△14.8 |
출처: 통계청, 온라인쇼핑 동향조사 주: 증감률은 전년 동월 대비
|
나) 출판인쇄물 수출입 규모: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 출판인쇄물(완제품) 수출입 규모
•
관세청의 수출입 무역통계4)에 따르면, 2022년 하반기의 도서(완제품)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3.8% 증가, 수입액은 19.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며 그간 이어져 온 무역 역조 현상에서 벗어나 수출액(1억 943만 달러)이 수입액(7,212만 달러)을 크게 앞섰다.
•
일반도서 수출액은 2019년 하반기와 2020년 하반기에 감소하다 2021년부터 크게 상승해, 2022년에 최대 규모를 달성하며 전체 수출액을 견인했고, 아동도서는 수출액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나, 2020년과 2021년에 높았던 반면 2022년은 다소 하락했다.
•
일반도서 수입액은 2018년 이래 꾸준히 증가하다 2021년에 최대치를 기록한 뒤, 2022년 하반기엔 전년 동기 대비 21%의 큰 감소폭을 보였다. 아동도서 수입액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매 하반기 약 2천만 달러씩의 높은 규모를 유지하다, 2022년엔 약 1,810만 달러로 감소했다. 2022년 출판인쇄물 전체 수입액 또한 2017년 하반기 이후 가장 낮은 규모로 나타났다.
출판인쇄물(도서) 수출/수입액 하반기 변화 추이 - 전체
(단위: 천 달러)

일반도서 수출/수입액 하반기 변화 추이
(단위: 천 달러)

아동도서 수출/수입액 하반기 변화 추이
(단위: 천 달러)

출판인쇄물(도서) 수출액 하반기 변화 추이 (2017년~2022년)

출판인쇄물(도서) 수입액 하반기 변화 추이 (2017년~2022년)

출판인쇄물(도서) 수출입 하반기 변화 추이(2017년~2022년)
|
(단위: 천 달러)
|
|
2017년 하반기
|
2018년 하반기
|
2019년 하반기
|
2020년 하반기
|
2021년 하반기
|
2022년 하반기
|
수출 |
일반도서 |
61,136 |
62,185 |
58,011 |
51,077 |
69,900 |
108,470 |
아동도서 |
1,166 |
1,088 |
754 |
1,328 |
1,238 |
960 |
합계 |
62,302 |
63,273 |
58,765 |
52,405 |
71,138 |
109,430 |
수입 |
일반도서 |
61,991 |
61,613 |
66,094 |
67,594 |
68,395 |
54,010 |
아동도서 |
10,629 |
12,956 |
20,401 |
20,693 |
20,802 |
18,106 |
합계 |
72,620 |
74,569 |
86,495 |
88,287 |
89,197 |
72,116 |
지수(2020년 하반기를 100으로 하여 비교함) |
수출 |
일반도서 |
119.7 |
121.7 |
113.6 |
100.0 |
136.9 |
212.4 |
아동도서 |
87.8 |
81.9 |
56.8 |
100.0 |
93.2 |
72.3 |
합계 |
118.9 |
120.7 |
112.1 |
100.0 |
135.7 |
208.8 |
수입 |
일반도서 |
91.7 |
91.2 |
97.8 |
100.0 |
101.2 |
79.9 |
아동도서 |
51.4 |
62.6 |
98.6 |
100.0 |
100.5 |
87.5 |
합계 |
82.3 |
84.5 |
98.0 |
100.0 |
101.0 |
81.7 |
1)
경상지수는 월별 매출액을 기준년도의 기준액(대표업종의 2020년 월평균 매출액)으로 나누어 작성한 지수로, 가격변동분을 포함, 산업의 구조변화 등을 파악하는 데 이용
2)
불변지수는 경상지수를 디플레이터(생산자물가지수 또는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누어 가격변동분을 제거해 전년 동 분기비 등 실질 성장을 분석하는 데 이용
3)
통계청 소매판매통계에선 일정한 판매매장을 갖추었는지에 따라 업태를 전문소매점과 무점포 소매로 구분하는데, 인터넷쇼핑, 홈쇼핑, 방문 및 배달판매 등이 무점포 소매에 해당한다.
4)
저작권 수출입이 아닌 출판인쇄물(완제품) 수출입 통계를 기준으로 집계함
〉〉〉 [KPIPA 출판산업 동향]에서는 매년 상하반기 발행 통계 및 출판산업 트렌드를 심층 분석과 함께, 통계청에서 공표되는 자료 중 출판 부문의 생산·판매·소비 지수를 인용하여 소개합니다.(5월, 10월 〈출판N〉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