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5 2020. 10.
출판유통통합전산망의 기대 효과
이중호(한국출판콘텐츠 대표)
2020. 10.
국내 출판산업계에서는 2019년부터 출판유통 선진화를 위해 출판계, 유통업계, 정부(문체부, 출판진흥원)가 함께 참여하는 ‘출판유통정보화위윈회’를 구성하여 업계의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해 가칭 ‘출판유통통합전산망’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업 추진 배경과 필요성
과거에도 국내 출판유통/물류환경을 개선하고, 상호 간에 신속하고 투명한 도서 정보교환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노력과 시도가 몇 번 있었으나 큰 성과는 없었다. 이는 국내 출판계와 서점계는 도서 공급체인 속에서 협업과 정보교환 표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아직도 출판사는 신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엑셀에 서지정보 항목을 작성해 유통사(서점)에 메일로 전송하거나, 직접 유통사 SCM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는 데이터 유효성이 낮아지고, 중복입력으로 인한 고비용/저효율 상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그림 1〉 국내 도서정보 및 수·발주 데이터 교환 현황
반면 〈그림 2〉와 같이 출판 공급체인의 중심에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허브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유통정보 플랫폼을 활용하면 출판사는 중복입력 없이 단 한 번의 입력으로 서점, 유통사, 도서관 등에 풍부한 메타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점이나 유통사(도매상)는 도서를 온라인으로 전자주문(EDI)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 6백만 건의 복잡한 거래 관계도 5천 건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림 2〉 출판유통통합전산망(BNK) 구축 필요성
출판선진국에서는 출판계, 서점계, 유통계가 공동으로 중앙 데이터 플랫폼(독일(MVB), 프랑스(CLIL), 네덜란드(CB), 캐나다(BNC), 일본(JPO) 등)을 구축하여 운영 중이다. 특히 도서정가제를 유지하고 있는 유럽 국가 대부분은 도서정가의 고시와 변경(재정가) 등을 통합 플랫폼에서 서점과 실시간 연계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다.
주요 시스템과 기능
출판유통통합전산망 구축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서브 시스템 개발과 외부 시스템 연계가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출판유통정보화위윈회에서는 출판사와 유통사(서점)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시스템 개발과 연계를 위한 프로젝트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중 핵심이 되는 몇 가지 주요 시스템과 함께 통합전산망 구축과 관련된 시범사업 현황, 그리고 전략적 협력관계를 소개하고자 한다.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
도서 메타데이터의 중요성
메타데이터는 책의 발견과 더불어 도서 매출에도 영향을 끼친다. 세계적인 출판시장 조사기관 ‘닐슨(Nielsen)’은 2016년, 메타데이터가 도서 판매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발표했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도서 메타데이터가 매출 증대에 상당히 놀라울 정도로 강력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영국과 미국 도서 중 각각 상위 10만 종을 대상으로, 출판유통시장의 메타데이터 사용과 이에 따른 판매량을 비교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그림 3〉과 같이 완전한 기본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도서가 그렇지 않은 도서보다 종(ISBN)당 평균 판매량이 약 7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 메타데이터와 판매량 상관관계
출처: David Walter, Metadata Study, The Importance of Metadata for Discoverability and Sales, 2016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 기능
〈그림 4〉 통합 메타데이터 관리 및 연계 개념도
도서 판매통계시스템
판매통계시스템의 기본적인 기능은 소매점의 도서 판매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서비스하는 것이며, 이에 필요한 판매데이터 수집은 대형 온·오프라인 서점, 중소형 서점을 포함한 모든 소매 서점에서 이루어진다.
베스트셀러 보고서
단일 ISBN 보고서
다량 ISBN 보고서
판매 채널 비교 보고서
시장점유율 보고서
〈그림 5〉 도서 판매통계시스템 화면
새롭게 개발한 판매통계시스템에서 중요한 것은 서점 판매통계정보의 익명성을 철저하게 보장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수집한 통계 데이터를 경쟁사의 개별 분석에 절대 노출하지 않는 것이다. 전체 산업과 분야별 판매 분석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경쟁사에 판매정보가 노출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전자 수·발주시스템
출판유통통합전산망 구축에 있어서 출판사와 서점이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도서 수·발주시스템이며, 이는 표준화된 전자 데이터 혹은 문서(EDI)에 의한 주문 자동화라고 설명할 수 있다. 이 부분에 있어서 전자 주문을 통해 팩스 주문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표준화된 정확한 데이터 유효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출판사와 도매상을 통해 서점 공급 도서의 사전출고정보(Advanced Shipping Notice)와 서점과 유통사의 POS/SCM 연계도 필요하다.
〈그림 6〉 전자 수발주시스템 운영 개념도
좀 더 고도화된 전자 수·발주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표준화된 메타데이터와 거래처 정보를 기반으로 서점과 도매상의 주문을 자동화하고, 출판사 자체 혹은 위탁 물류센터와 도매상의 입·출고 데이터를 출판사의 경영관리시스템(ERP)과 연계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기대효과 및 참여혜택
국내 출판유통 시장에는 아직 해결해야 할 비합리적인 거래 관행이 존재한다. 또한 일부 출판사와 온·오프라인 서점 그리고 유통사 간의 투명하지 못한 거래로 불신이 누적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출판유통통합전산망 구축을 통해 과거의 비효율적인 유통구조 개선과 함께 도서 공급체인 인프라를 혁신해야 하며, 이를 통해 출판 생태계 이해당사자는 매출 증대, 경영혁신 등의 기대효과를 노려야 한다.
〈그림 7〉 출판유통통합전산망 기대효과 및 참여혜택
출판사 시범운영과 유통사 업무협약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는 1단계~2단계 사업을 통해 개발된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과 주제분류 시스템 테스트, 개선사항 의견수렴을 위해 몇몇 출판사와 함께 출간된 도서의 메타데이터를 입력하여 보도자료와 디지털 카탈로그를 제작해 보는 시범운영(Closed Beta Test)을 추진했다.
시범운영을 통해 출판사들이 입력한 도서 메타데이터는 9월 17일 기준으로 약 2,200종이다. 9월 23일에는 간담회를 개최하여 메타데이터를 입력하면서 도출된 개선사항에 대해 출판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3단계 사업과 전산망 운영에 반영하기로 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과 국내 대표 유통사는 협약을 통해 ▲출판유통통합전산망 운영을 위한 상호 협력체계 구축(도서유형별 메타데이터 표준화, 주제분류체계 구축 등), ▲ 출판 관련 통계서비스 기반 마련(도서 판매데이터 제공 등), ▲구축된 출판유통통합전산망 활용에 적극 참여 등을 상호 간에 약속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국내 대표 유통사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과 함께 출판유통통합전산망 구축 사업 추진에 적극 참여하고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힌 자리로, 출판유통 선진화 기반 마련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중호(한국출판콘텐츠 대표) 미국에서 MBA(경영정보시스템) 졸업 후 웅진북센에서 경영기획실장, 미래사업본부장으로 근무했으며(1995~2012), 미래출판전략연구소 소장을 거쳐(2013~2015) 현재는 (주)한국출판콘텐츠 대표이사로 재임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