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단어 : "지식",   검색결과 : 246
번호 제목 작성자 회차
166 [해외동향] 2022 프랑크푸르트 국제 도서전 스케치 김홍기(임프리마 코리아 에이전시 본부장) VOL.38 / 2022.11
  2022 프랑크푸르트 국제 도서전 스케치       김홍기(임프리마 코리아 에이전시 본부장)   2022. 11.   3년 만에 정상화된 세계 최대의 책 축제   팬데믹으로 인해 지난 2019년을 끝으로 사실상 멈췄던 프랑크푸르트 국제 도서전(Frankfurter Buchmesse)이 3년 만에 마침...
165 [人사이드] 『파친코』를 통해 본 한일 역사에 대한 새로운 각성 김성곤(서울대학교 명예교수/미국 다트머스대학교 객원교수) VOL.26 / 2021.10
  『파친코』를 통해 본 한일 역사에 대한 새로운 각성       김성곤(서울대학교 명예교수/미국 다트머스대학교 객원교수)   2021. 10.   『파친코』에 나타난 재일교포의 삶   사람이 태어날 때 선택할 수 없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자신이 태어나는 나라이고, 또 다른...
164 [출판탐구] 출판진흥원이 싱가포르에 간 까닭은? 김태헌(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케이북콘텐츠팀) VOL.51 / 2024.01-02
  출판진흥원이 싱가포르에 간 까닭은?싱가포르 부가 판권 수출 해외 상담회(KPE) 개최기       김태헌(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케이북콘텐츠팀)   2024.01-02.   세계 시장에서 드라마, 영화, 공연 등 다양한 형식으로 K-콘텐츠의 부가 판권 판매와 투자가 점차 확대되면서 원천 콘...
163 [해외동향] 나라 밖 우리 옛 책, 어디에 있을까? 옥영정(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전공 교수) VOL.38 / 2022.11
  나라 밖 우리 옛 책, 어디에 있을까?       옥영정(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전공 교수)   2022. 11.   나라 밖 우리 옛 책의 조사는 왜 필요한가?   고전적(古典籍), 고서적(古書籍), 고서(古書) 등으로도 불리는 옛 책은 선조가 남긴 지적 자산의 결정체이며, 수많...
162 [출판탐구] 국립중앙도서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조혜린(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과장) VOL.50 / 2023.12
  국립중앙도서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조혜린(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과장)   2023. 12.   국립중앙도서관 탄생에서부터 지금까지   국립중앙도서관은 대한민국의 지식을 모으고(수집), 담고(보존), 잇는(후대 전승) 국가 대표 도서관으로서, 대한민국의 지식문화 유산을 ...
161 [출판탐구] 지역출판 활성화, ‘교육’이 키워드다 김정명(신구대학교 미디어콘텐츠과 겸임교수) VOL.50 / 2023.12
  지역출판 활성화, ‘교육’이 키워드다       김정명(신구대학교 미디어콘텐츠과 겸임교수)   2023. 12.   지역출판의 정체성을 다듬어온 시간들   지역은 언제나 변방이다. 그러나 각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출판인들은 그 안에서 나름대로 지역을, 출판을 지키기 위해 애를 써왔...
160 [커버스토리] [문자의 시대는 저무는가] 동시대를 향유하는 가장 편안한 방식에 관하여 허단(은행나무 라이킷(Lik-it) 팀장) VOL.24 / 2021.08
  [문자의 시대는 저무는가]동시대를 향유하는 가장 편안한 방식에 관하여       허단(은행나무 라이킷(Lik-it) 팀장)   2021. 8.   좋아하는 일화가 있다. 1948년 베를린 여행 중이던 시몬 드 보부아르1)가 종이를 움켜쥔 채 생각에 잠겨 있을 때 알베르토 자코메티2)가 말을 건넨다....
159 [출판탐구] 대학도서관 장서 폐기, 누구에게 그 권리가 있는가 노경희(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교수) VOL.49 / 2023.11
  대학도서관 장서 폐기, 누구에게 그 권리가 있는가       노경희(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교수)   2023. 11.   100년 전에도 우리는 책을 버렸다   금년 봄 무렵부터, 조선고판본과 조선고활자본의 잔권(殘卷)이 자주 세상에 나왔다. 나는 이에 대해 별반 관심 없이 그저 특이...
158 [커버스토리] [문자의 시대는 저무는가]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의 문해력, 검색이 ‘지식’이 되는 사회 정희진(문학박사, 여성학 연구자) VOL.24 / 2021.08
  [문자의 시대는 저무는가]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의 문해력,검색이 ‘지식’이 되는 사회       정희진(문학박사, 여성학 연구자)   2021. 8.   우리 사회는 ‘쉬운 글’은 대중적이고, ‘대중적인 글’은 ‘민주적’이라고 오해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학생들의 문...
157 [출판계 이모저모] ‘절판’과 ‘복간’이 출판 마케팅의 무기가 될 수 있을까 손민규(예스24 인문·사회·정치 PD) VOL.53 / 2024.5+6
  ‘절판’과 ‘복간’이 출판 마케팅의 무기가 될 수 있을까       손민규(예스24 인문·사회·정치 PD)   2024. 5+6.   ‘절판 마케팅’이 존재하는가   ‘절판 마케팅’ 키워드를 검색해보면 주로 보험료가 곧 오를 테니 당장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며 광고하는 보험사들의 사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