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단어 : "제도",   검색결과 : 203
번호 제목 작성자 회차
153 [출판탐구] 지역출판 활성화, ‘교육’이 키워드다 김정명(신구대학교 미디어콘텐츠과 겸임교수) VOL.50 / 2023.12
  지역출판 활성화, ‘교육’이 키워드다       김정명(신구대학교 미디어콘텐츠과 겸임교수)   2023. 12.   지역출판의 정체성을 다듬어온 시간들   지역은 언제나 변방이다. 그러나 각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출판인들은 그 안에서 나름대로 지역을, 출판을 지키기 위해 애를 써왔...
152 [출판탐구] 대학도서관 장서 폐기, 누구에게 그 권리가 있는가 노경희(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교수) VOL.49 / 2023.11
  대학도서관 장서 폐기, 누구에게 그 권리가 있는가       노경희(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교수)   2023. 11.   100년 전에도 우리는 책을 버렸다   금년 봄 무렵부터, 조선고판본과 조선고활자본의 잔권(殘卷)이 자주 세상에 나왔다. 나는 이에 대해 별반 관심 없이 그저 특이...
151 [커버스토리] [문자의 시대는 저무는가]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의 문해력, 검색이 ‘지식’이 되는 사회 정희진(문학박사, 여성학 연구자) VOL.24 / 2021.08
  [문자의 시대는 저무는가]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의 문해력,검색이 ‘지식’이 되는 사회       정희진(문학박사, 여성학 연구자)   2021. 8.   우리 사회는 ‘쉬운 글’은 대중적이고, ‘대중적인 글’은 ‘민주적’이라고 오해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학생들의 문...
150 [출판탐구] [2023 제3회 열린 포럼] 독서는 문화국가의 경쟁력이다 〈출판N〉 편집부 VOL.49 / 2023.11
  [2023 제3회 열린 포럼]독서는 문화국가의 경쟁력이다       〈출판N〉 편집부   2023. 11.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지난 10월 6일 서울 마포구 소재의 창비 서교빌딩 50주년홀에서 “독서는 문화국가의 경쟁력이다”를 주제로 ‘2023 제3회 열린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
149 [해외동향] 바야흐로 엔데믹, 2022 예테보리 도서전의 익숙하고도 새로운 시작 오승현(출판사 글로연 대표) VOL.37 / 2022.10
  바야흐로 엔데믹,2022 예테보리 도서전의 익숙하고도 새로운 시작       오승현(출판사 글로연 대표)   2022. 10.   2022년 9월 22일부터 4일간, 제38회 예테보리 도서전이 열렸다. 위기의 팬데믹을 통과하며 2020년에는 완전 비대면, 2021년에는 대면과 비대면을 혼합하여 연 이...
148 [출판탐구] [도서정가제를 말한다: 소비자 찬성 입장] 동네 서점에서 찾는 도서정가제에 관한 진실 박균호(북칼럼니스트) VOL.48 / 2023.10
  [도서정가제를 말한다: 소비자 찬성 입장]동네 서점에서 찾는 도서정가제에 관한 진실       박균호(북칼럼니스트)   2023. 10.   동네 서점에 있다 보면 자주 보이는 풍경이 있다. 학부모로 보이는 어른이 전화를 받으면서 자신이 사야 할 책 목록을 확인한다. 더 볼 것도 없다. 자녀가...
147 [커버스토리] [국내 대학출판의 현황과 전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73년의 역사를 말하다 곽진희(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실장) VOL.23 / 2021.07
  [국내 대학출판의 현황과 전망]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73년의 역사를 말하다       곽진희(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실장)   2021. 7.   지금도 기억 저편에 대학을 갓 졸업하자마자 설레는 마음으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이하 출판문화원...
146 [人사이드] 사회적 콘텐츠가 된 “서울와우북페스티벌”과 문화기획자 故 이채관 이현진((사)와우책문화예술센터 대표) VOL.23 / 2021.07
  사회적 콘텐츠가 된 “서울와우북페스티벌”과 문화기획자 故 이채관       이현진((사)와우책문화예술센터 대표)   2021. 7.     책 축제의 시작은 그랬다. 회사 사무실 한편에서 이채관 대표와 직원 두세 명이 모여 기획회의를 하고 있었다. 홍대 앞에서 축제를 만들어...
145 [출판계 이모저모] ‘선(先) 연재/전자책 - 후(後) 종이책’ 출간 모델은 성공할까? 류영호(교보문고 IP사업단 부장) VOL.51 / 2024.01-02
  ‘선(先) 연재/전자책 - 후(後) 종이책’ 출간 모델은 성공할까?       류영호(교보문고 IP사업단 부장)   2024.01-02.   “종이책으로 출간될 원고가 독자들에게 어떤 반응을 얻을까?” 책을 만들고 파는 사람들이 고민하는 공통된 질문이다. 어느 정도 완성도를 갖춘 원고가 나오면 베...
144 [출판탐구] [도서정가제를 말한다: 소비자 반대 입장] 도서의 공공성과 시장성 문제를 재검토해야 한다 윤성현(한양대학교 정책학과 교수, 헌법학) VOL.48 / 2023.10
  [도서정가제를 말한다: 소비자 반대 입장]도서의 공공성과 시장성 문제를 재검토해야 한다도서정가제 입법 개선의 필요성       윤성현(한양대학교 정책학과 교수, 헌법학)   2023. 10.   필자는 도서정가제 사건에 관한 헌법재판소 공개변론(2023. 1. 12)에 참고인으로 지정되어 헌법학...